Difference between revisions of "Tutorial: Walkthrough for Ye Compleat Beginner/ko"
m (→사양) |
SlayerGames (talk | contribs) m (Moved to /ko category) |
||
(38 intermediate revisions by one other user not shown) | |||
Line 1: | Line 1: | ||
+ | ==관련 글타래== | ||
+ | *『[[Main_Page/ko|대문]]』 - ''KSP 위키의 한글 대문'' | ||
+ | *『[[Getting_Started/ko|시작하기]]』 - ''KSP에 대한 기초적인 안내'' | ||
+ | *『[[Tutorial:Game Manual/ko|게임 설명서]]』 - ''심도있는 기술적 이해를 돕는 문서'' | ||
+ | *『[[Tutorials/ko|입문서]]([[Tutorials]])』 - ''게임 진행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총망라한 문서''<br /><br /><br /> | ||
+ | |||
+ | |||
=신참을 위한 길라잡이= | =신참을 위한 길라잡이= | ||
KSP를 해 본 적 없으시다구요? 요상한 단어와 조작법 그리고 거지같은 수학 때문에 혼란스러우시다구요? 이 입문서를 따라오시면 최초의 두 로켓을 발사하는데 필요한 모든 절차를 숙지할 수 있습니다. | KSP를 해 본 적 없으시다구요? 요상한 단어와 조작법 그리고 거지같은 수학 때문에 혼란스러우시다구요? 이 입문서를 따라오시면 최초의 두 로켓을 발사하는데 필요한 모든 절차를 숙지할 수 있습니다. | ||
Line 8: | Line 15: | ||
*'''난이도:''' 쉬움 | *'''난이도:''' 쉬움 | ||
*'''버전:''' 전 버전 | *'''버전:''' 전 버전 | ||
+ | <br /><br /><br /> | ||
+ | |||
+ | |||
− | == | + | ==도전! 첫번째 로켓 발사== |
이 글을 읽고나면 게임을 시작하고, 로켓을 고르고, 발사하고, 지구 아니 커빈으로 안전하게 귀환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하면 세명의 무모한 우주비행사를 공전 궤도에 올려놓게 될 것입니다, 아마도 영원히... | 이 글을 읽고나면 게임을 시작하고, 로켓을 고르고, 발사하고, 지구 아니 커빈으로 안전하게 귀환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하면 세명의 무모한 우주비행사를 공전 궤도에 올려놓게 될 것입니다, 아마도 영원히... | ||
− | + | <br /><br /> | |
− | ===1단계 - | + | ===1단계 - 커발 스페이스 프로그램 시작하기=== |
당연하게도 게임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우선 KSP를 시작하는 것이 첫 단계겠죠. 각오를 단단히 하세요, KSP는 구동하는데 제법 오랜 시간이 걸린답니다. 화면 좌측 하단 모서리의 노란 점<sub>(우주 테이프를 푸는 중, 재치있는 구동 힌트 발명중, 스프링 시험중 따위의 귀여운 문구를 가장한)</sub>은 기나긴 진행막대의 시작이랍니다. PC 사양에 따라 1~3분 정도 소요됩니다. | 당연하게도 게임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우선 KSP를 시작하는 것이 첫 단계겠죠. 각오를 단단히 하세요, KSP는 구동하는데 제법 오랜 시간이 걸린답니다. 화면 좌측 하단 모서리의 노란 점<sub>(우주 테이프를 푸는 중, 재치있는 구동 힌트 발명중, 스프링 시험중 따위의 귀여운 문구를 가장한)</sub>은 기나긴 진행막대의 시작이랍니다. PC 사양에 따라 1~3분 정도 소요됩니다. | ||
− | * | + | * '''시작하기(Start Game)'''를 선택하세요. (원한다면 곧바로 시작하지 않고, '''설정변경(Settings)'''으로 살짝 돌아가 조작단추(Key bindings)를 변경하는 일을 해도 되죠. 다만, 그리하면 기본 조작단추(Key bindings)를 기준으로 작성한 이 문서와 여타 입문서들에서 약간 복잡한 상황에 직면하게 될 수 있답니다.) |
− | * | + | * '''새로시작하기(Start New)'''를 선택하세요. |
− | * | + | * 이름 혹은 별명을 입력하세요. |
− | * | + | * '''샌드박스(Sandbox)'''를 선택하세요. (커리어(Career) 말고...) |
− | * | + | * '''시작(Start)''' 선택하세요. |
+ | |||
+ | 다음에 시작할 때는 '''새로시작하기''' 대신 '''불러오기(Resume Saved)'''를 선택하세요. 전에 저장한 게임을 불러와서 진행하게 됩니다. | ||
+ | <br /><br /> | ||
+ | === 2단계 - 발사대로~!!! === | ||
+ | 자, 이제 멋드러진 커발 우주단지의 전경이 보일겁니다. 게임내에서 이미 만들어진 기성 로켓을 바로 쏴 볼건데요. | ||
+ | 화면 상단 오른쪽에 있는 '발사대(launch pad)'를 클릭해 보세요. 발사대를 선택했었다는 걸 이미 눈치 챘었죠? 화면 하단 왼쪽에 '''발사대'''라고 떡하니 나오니까 말이죠. | ||
+ | '''커발 2[Kerbal 2 (Stock)]'''를 선택하세요. ''스톡(Stock)''이라는 이름이 붙어 있는 것은 게임에서 미리 만들어져 있던 로켓이라는 뜻이랍니다. 추후에 자신만의 로켓을 만들면, 요 목록에 나타나게 되죠. | ||
+ | 화면 상단 우측의 '''발사(Launch)''' 단추를 누르세요. | ||
+ | |||
+ | 자, 이제 발사대에 놓여있는 땅딸막한 로켓을 볼 수 있습니다. 자, 거의 다 왔어요~! 그 전에 몇가지 기초적인 작업을 배워둘까요. | ||
+ |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고 움직여 카메라 시점을 변경해보세요. | ||
+ | 숫자 키패드에 있는 {{Key press|+|-|chain=}}로 확대도 해보고 축소도 해보세요. | ||
+ | 마우스에 휠이 달린 것이면, 같은 기능을 합니다. | ||
+ | 여러분의 귀염둥이(?) 커보너츠(Kerbonauts; 커벌 우주비행사) 세마리가 화면 하단 오른쪽에서 발사 준비가 되어 있다고 하는군요. | ||
+ | 로켓을 한번 둘러봅시다. 세개의 가냘픈(?) 지지대는 로켓의 부품은 아닙니다. 로켓을 고정시켜주는 지지 구조물이랍니다. | ||
+ | <br /><br /> | ||
+ | === 3 단계 - 첫번째 발사 중단 === | ||
+ | '''{{Key press|스페이스}}'''를 누르세요. 로켓이 그냥 땅으로 떨어지고... 아무일도 없군요. 어찌 된 걸까요? | ||
+ | 모든 로켓 발사는 발사 단계 혹은 비행 단계(Stages)에 따라 진행되며, 각 단계의 진행은 {{Key press|스페이스}}를 눌러 합니다. 커발 2 로켓 (Kerbal 2 rocket)은 3단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첫번째 단계에서는 로켓 엔진을 점화하고 지지대를 분리하죠. 어쨌거나, 현재 엔진의 출력은 0%네요. 출력 높이는 걸 깜빡했군요. 자, 그럼 문제를 고치고 다시 도전해봅시다. | ||
+ | <br /><br /> | ||
+ | === 4 단계 - 발사 성공!!! === | ||
+ | '''{{Key press|ESC}}''' 로 게임을 잠시 멈추세요. | ||
+ | '''비행 되돌리기(Revert Flight)'''를 선택해 '''발사 되돌리기'''를 해보죠. 이것은 시간을 되돌려서 발사 과정의 초기로 돌아갈 수 있답니다. | ||
+ | |||
+ | {{Key press|왼쪽 시프트}}를 몇초간 눌러주세요. 출력을 증가시켜 100%가 되도록 합니다. | ||
+ | 완료가 됐다면, {{Key press|스페이스}}를 누르세요. | ||
+ | 자, 드디어 로켓이 발사되었군요! | ||
+ | |||
+ | |||
+ | 대략 5초후 (고도 1500미터 정도), 로켓의 연료가 다 떨어집니다. {{Key press|스페이스}}를 눌러 다음 비행 단계(Stage)로 진행합시다. 폭발식 연결나사가 터지며 큰 소리가 나는 걸 들을 수 있는데, 뭐 별다른 일은 없으니 안심하세요. {{Key press|A|S|D|W|chain=}}을 눌러 보세요. 캡슐이 연료가 떨어진 부스터 엔진으로 부터 멀어져야 합니다. 뭐 돈드는거 아닙니다. | ||
+ | |||
+ | |||
+ | 이제 세번째로 {{Key press|스페이스}}를 눌러 낙하산을 펼치세요. 고도에 따라서는 낙하산이 완전히 펼쳐지기도 하고 반만 펼쳐지기도 한답니다. 지상으로 부터 500미터 정도되면 자동으로 펼쳐지게 됩니다. (이때 500미터는 해수면 높이가 아니라 지상으로부터의 높이랍니다) | ||
+ | |||
+ | |||
+ | 매의 눈(?)으로 카메라를 돌려(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채) 주위를 둘러보면, 부스터 로켓이 땅으로 추락해 산산히 부숴지는 것도 볼 수 있을 거예요. (만약 연료가 남아있다면, 폭발하기도 하죠.) | ||
+ | |||
+ | 캡슐과 우리의 귀염둥이 커보너츠 세마리는 지면(약 68미터; 우주단지가 있는 지표의 고도)에 부드럽게 착지할 때까지 자유낙하를 하게 됩니다. 착지하면 낙하산은 자동으로 사라지죠. | ||
+ | 화면 상단 중앙 위쪽으로 마우스를 가져가면 나타나는 '''기체 회수(Recover Vessel)'''라는 녹색 표식을 누르세요. | ||
+ | 완료!!! 준궤도 처녀 비행을 축하합니다!!! | ||
+ | <br /><br /><br /> | ||
+ | |||
+ | == 도전! 두번째 로켓 발사 : 궤도 진입하기 == | ||
+ | 그냥 공전궤도까지 수직으로 올라 가는 거냐구요? 안타깝게도 아니랍니다. 더 크고 성능 좋은 로켓으로도, 그냥 하늘을 향해 곧장 쏘아진 로켓으로는 언감생심이죠. 궤도 안착에는 단순하지만 아주 중요한 전술(기동)이 필요합니다. 자, 우선 좀 큰 놈(로켓)을 고르는 것으로 시작해 볼까요! | ||
+ | <br /><br /> | ||
+ | === 첫째, 대형 로켓 선택 === | ||
+ | 커발 우주단지로 가서, 발사대를 선택하고, '''커발 엑스(Kerbal X (Stock))'''를 고른 후 '''발사'''를 누른다. 커발 엑스는 더 크고, 9단(0 ~ 8로 구성)에 이르는 다단계 로켓이다. 커발2와 같이 이동식 발사 지지대(gantry support system)로 고정되어 있다. 곧 이 지지대의 중요성을 알게 될 것이다. | ||
+ | <br /><br /> | ||
+ | === 두번째, 발사 === | ||
+ | * '''{{Key press|T}}'''를 누른다. 로켓이 휘청이는 것을 막아준다. | ||
+ | * '''{{Key press|시프트}}'''를 눌러 출력이 100%이 되도록 한다. | ||
+ | * '''{{Key press|스페이스}}'''를 눌러 엔진을 가동한다. 지지대에 의해서 로켓은 여전히 그 자리에 서 있을 것이다. | ||
+ | * 재빨리 '''{{Key press|스페이스}}'''를 또 눌러 지지대를 분리시킨다. 이륙!!! | ||
+ | <br /><br /> | ||
+ | === 세번째, 비행 단계별 엔진 사용 === | ||
+ | 7개 엔진이 동시에 분사된다는 점을 주의하라. 화면 하단 왼쪽의 녹색 막대는 연료량을 보여준다. 모두 동일하지는 않을 것이다. 어떤 엔진은 상대적으로 용량이 작아 빨리 연료가 줄어 들 것이다. 비어버린 연료통과 엔진은 불필요한 무게를 발생시키므로 재빠르게 떨어뜨리자. 특히, 중앙의 2개 엔진은 빨리 연료가 소모될 것이다. 그 두개의 연료량을 주의깊게 살펴보다, 연료가 떨어지면(대략 600 ~ 700미터 근방) {{Key press|스페이스}}를 눌러 다음 비행 단계로 넘어가자. 커발 엑스 로켓은 이 두개의 소형 엔진을 이 단계에서 분리하도록 고안되어 있다. 남은 엔진들은 계속 연소가 될 것이다. | ||
+ | |||
+ | |||
+ | 남은 5개 엔진도 역시 다른 비율로 연소가 된다. 맨 아래의 연료량 2개가 비어지면, {{Key press|스페이스}}를 눌러 버린다. | ||
+ | |||
+ | |||
+ | 이제 3개의 엔진이 남는데, 여전히 다른 비율로 연소된다. 적절한 시기에 비어버린 엔진을 {{Key press|스페이스}}로 떨구도록 한다. | ||
+ | <br /><br /> | ||
+ | === 네번째, 중력선회(Gravity Turn) === | ||
+ | 약 6,000 미터 정도 수직으로 상승하며, 1개의 엔진만 남게 된다. 내려다 보이다 커빈 행성이 점점 둥글게 보이기 시작할 것이다. | ||
+ | 화면 하단의 파란 항법구([[navball]])를 보라. 그 항법구의 바로 위쪽에 있는 녹색글자가 있는 부분을 클릭하면 '''궤도(Orbit)'''에서 '''지표(Surface)'''로 바뀐다. | ||
+ | |||
+ | |||
+ | 약 10,000 미터 (정확하게 맞출 필요는 없다)에 도달하면, '''{{Key press|D}}'''를 눌러 로켓의 머리가 오른쪽 45도 정도 각도(항법구를 보며 맞추면 수월함)에 오도록 한다. 약간 흔들거리겠지만, 상관없다. | ||
+ | 항법구가 회전하기 시작하며, 가운데 있는 금색의 브이표식[[File:Level indicator.svg|24x24px|frameless|default]]이 노란 원('target') 표식[[File:Prograde.svg|16x16px|frameless|default]]에 가까워 질 것이다. | ||
+ | 두 표식이 일치 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이따금 '''{{Key press|D}}'''를 눌러줄 필요가 있다. | ||
− | |||
− | + | 약 30,000 미터에 도달하면 연료가 3분의 2가량 소모되므로, 여러 번 {{Key press|왼쪽 컨트롤}}을 눌러 출력을 50%까지 줄인다. | |
− | + | '''{{Key press|M}}'''눌러 지도 화면으로 전환한다. | |
− | + | 마우스 우클릭을 한 상태로 행성 전체가 보이도록 마우스를 움직여주면, 로켓의 궤적을 보여주는 옅은 푸른 색의 호가 보일 것이다. 이때의 호선을 보면, 하늘로 곧장 올라왔다 다시 땅을 향해 내려가는 모양이다. 이러면 안되는데예... 궤도를 수정할 차례가 되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파란색의 궤적을 따라가면 '''커빈 원점(遠點)'''(원행점<sup>[[Apoapsis]]</sup> 또는 원지점<sup>apogee</sup>은 우주선의 궤도에서 가장 높은 지점을 뜻한다)이라고 표시된 파란 표식이 보인다. 현재의 방향과 속도를 유지할 때 로켓이 오를 수 있는 가장 높은 고도를 보여준다. | |
− | + | ||
− | + | 현재 지도화면에서는 아마 항법구<sup>[[navball]]</sup>가 안보일텐데, 화면 중앙 하단의 작은 화살표 표시를 눌러 보이도록 해준다. | |
− | + | 마우스를 원점 표식 위에 올리고, 고도가 높아지는 것을 살펴보자. 100,000 근방(120,000 아래로 유지한다)에 이르면 {{Key press|X}}를 눌러 엔진을 정지시킨다. | |
− | |||
− | |||
− | |||
− | |||
− | |||
− | |||
− | + | (만약 중간에 연료가 다 떨어지면, {{Key press|스페이스}}를 눌러 엔진을 분리시키고, 다시 눌러 다음 단계의 엔진을 점화시켜준다.) | |
− | |||
− | + | 이제 로켓이 부유하게 되기는 하지만, 당분간은 관성에 의해 여전히 상승하게 된다. 이때 {{Key press|A|S|D|W|chain=}}를 이용한 로켓 조종이 굉장히 둔해진다. 엔진이 꺼졌어도, 내장된 타성-평형 장치(inertial-stability system)는 여전히 작동을 하기 때문이다. 엔진을 재점화하면, 조종이 다시 정상적으로 될 것이다. | |
− | + | 시간이 좀 된다면, {{Key press|M}}을 눌러 비행 화면(normal staging view)으로 되돌아가가 로켓 주변의 경치를 감상하도록 한다. | |
− | + | <br /><br /> | |
− | == | + | === 다섯번째, 궤도 진입 === |
− | + | 원점 표식에 닿기 10초 전쯤, 로켓을 기수(방향)를 항법구의 노란 원형 목표 표식(순행<ref>[[prograde]] marker: 비행체의 관성운동 방향을 지시하는 표식</ref>표식<sup>prograde mark</sup>) - 아마도 항법구의 청색/갈색 수평선 근처에 걸쳐져 있을 것이다 - 쪽으로 맞춰준다. 절대 녹색의 원형 X 표식(역행<ref>[[retrograde]] marker: 비행체의 관성운동 방향의 반대을 지시하는 표식. 역자가 0.25버전에서 확인하기론 녹색이 아닌 노란색임.</ref>표식<sup>retrograde marker</sup>)을 향하고 있으면 안된다. | |
− | |||
− | |||
− | + | {{Key press|좌측 시프트}}로 출력을 절반 정도로 높여준다. | |
− | + | 옅은 파란색의 궤도가 점차 커지는 것을 주의해서 본다. 호를 그리던 궤도가 나중엔 행성 주위를 감싸는 원 모양으로 바뀔것이다. 지도 화면에서 마우스로 배율을 축소하여 행성 전체와 궤도가 잘 보이도록 조정한다. | |
− | + | (출력을 높였음에도 갑자기 로켓이 정지한다면, 아마도 연료가 떨어져서 일 것이다. 걱정하지 마시라! 침착하게 {{Key press|스페이스}}를 눌러 다음 단계의 엔진을 점화시키자.) | |
− | + | 로켓의 기수가 계속해서 노란 원형 표식(순행표식)을 향하게끔 항법구를 주시하자. 이 때 언제든 엔진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Key press|X}}를 누를 준비를 하여야 한다. | |
− | |||
− | |||
− | |||
− | + | 슈우욱!! 커빈(Kirbin)의 반대편 쪽에서 파란 근점(近點) 표식<ref>[[periapsis]] marker: 근행점(近行點) 또는 근점(近點)이라 하며 궤도의 가장 낮은 지점을 가리킴.</ref><sup>periapsis marker</sup>이 갑자기 나타날 것이다. | |
+ | 마우스 커서를 이 근점표식 위로 가져가면 고도가 빠르게 높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약 20,000 미터 정도에 이르면 {{Key press|X}}를 눌러 엔진을 정지시킨다. | ||
+ | 아싸~! 커빈의 위성궤도에 드디어 올라섰다! | ||
+ | <br /><br /> | ||
− | + | === 여섯번째, 대기권 진입 회피 === | |
+ | 한가지 문제가 있다: 대기권(atmosphere)이 바로 그것! 커빈의 대기는 약 65,000 미터 까지 펼쳐져있기에 이 고도 안쪽으로 우주선이 비행할 경우 공기 저항으로 느려지다가 결국엔 타버리게 된다. 따라서, 근점(최저고도; <sup>[[periapsis]]</sup>)를 최소 70,000 미터 이상으로 높여주자. | ||
− | |||
− | |||
− | |||
− | + | 항법구의 노란 원형 표식(순행 표식; <sup>[[prograde]]</sup>)에 기수를 일치시키고, 엔진은 낮은 추력을 유지한채, 근점 표식에 마우스 커서를 위치시켜 고도가 70,000미터가 넘도록 한다. 근점과 원점이 - 여러분이 그렇게 만들고 있으므로 -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할 것이다. 잘 되고 있는 것으로 계속되는 엔진 분사가 궤도의 모양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 |
− | + | 근점과 원점 모두 75,000 미터 이상이 되면 {{Key press|X}}를 눌러 엔진을 정지시키자. | |
− | + | <br /><br /> | |
− | + | === 일곱번째, 경치 감상 === | |
− | + | 훌륭하군요. 이제 위성궤도에 안착하게 되었네요, 별다른 변경을 가하지 않는다면 문자그대로 영원히 말이죠. | |
− | + | ||
− | + | 시간을 가속해서 궤도를 도는 모습을 감상해봅시다. {{Key press|.}}를 누르면 시간가속 기능이 켜집니다.''({{Key press|,}}는 감속)'' | |
− | |||
− | |||
− | ( | + | {{Key press|M}}을 눌러, 비행 화면(staging view)으로 변경한 후 경치를 감상해봅시다. 만약 행성의 그림자 부분에 있다면, 비행선을 보기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 장면에서도 시간을 역시 가속해 볼 수도 있겠죠. 여러가지 각도로 화면을 바꿔보세요. 커빈의 수평선 또는 지평선 너머로 해가 떠오르는 멋진 일출을 보세요. |
+ | |||
+ | |||
+ | 엔진이 꺼져 있더라도, 이전보다 기체의 조종이 쉬울 것입니다. 기체가 작아졌기 때문이죠. 마지막으로 분리했던 엔진이 전체 기체 중량의 절반을 차지했으니까요. 남은 기체는 당연히 내장-평형 장치(inertial-stability system )로도 손쉽게 조종이 가능하게 된거죠. | ||
+ | |||
+ | |||
+ | 기체 캡슐 내부 화면을 보고 싶으면, 비행 화면에서 우주비행사(Kerbonaut)의 모습이 보여지는 화면 우측의 작은 창에 마우스 커서를 올려 놓으면 생기는 '''IVA''' (선내활동; intra-vehicular activity)를 클릭하세요. EVA를 선택하지 마세요! 우클릭을 한 채로 마우스를 움직이면 조종석 내부를 둘러 볼 수 있습니다. {{Key press|C}}를 누르면 다시 비행 화면으로 빠져나옵니다. | ||
+ | |||
+ | |||
+ | 이 기체(우주선)을 떠나 다른 기체로 시작을 해보고 싶다만, {{Key press|Esc}}를 눌러 '''커벌 우주단지(Space Center)'''로 갑니다. 다음에 다시 이 우주선으로 되돌아오지 않는다면 이 기체(우주선)는 계속해서 현재의 궤도를 돌게 됩니다. 언제든 우주단지의 관제소([[Tracking Station]])에서 진행상황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머지않아 한꺼번에 다수의 비행을 진행하게 될텐데, 이 관제소에서 각각의 비행 임무로 언제든 접근할 수 있게됩니다. 기체(우주선)에서 떠나 있는 상태에서도 시간이 항상 흐른다는 점을 명심하세요; 궤도상에서 비행중이던 다른 어떤 임무를 수행하던간에 시간은 계속 흐르고 있습니다. 이 점은 나중에 중요한 사항이 되는데, 특히나 두 기체(우주선)의 랑데뷰(rendezvous)를 진행하거나 다른 행성으로의 장거리 임무를 수행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때 더욱 그렇습니다. | ||
+ | <br /><br /><br /> | ||
+ | |||
+ | == 부록(Extra credit) == | ||
+ | 우주공간에서, 속도와 고도는 불가분(不可分)의 관계다. 궤도상에서, 고도는 속도를 결정하며, 역으로 속도는 고도를 결정하는 요소다. 고도를 그대로 유지한채 속도를 늦추거나 빠르게 할 수는 없다. 항상 그 고도에 ''부합하는'' 속도가 되어야 궤도를 유지하게 된다. 증속은 기체를 빠르게 한다기보다 높은 궤도-- 행성에서부터 보다 멀리 --로 가게끔 한다. 같은 식으로, 감속은 낮은 궤도-- 행성으로 좀 더 가까워 지는--로 이동시킨다. 다른 기체(우주선)를 동일 궤도 상에서 ''따라 잡는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영원히 두 기체는 만날 수 없을 것이다. | ||
+ | |||
− | + | 여러분의 궤도는 완벽한 원(perfect circle)이기보다는 타원(ellipse)에 가까울 것이다. 괜찮다 아니 오히려 좋다. 순행추진(循行推進; [[prograde]], 움직이던 방향의 앞 쪽)이나 역행추진(逆行推進; [[retrograde]], 움직이던 방향의 뒤 쪽) 분사를 통해 이 궤도의 ''원형(원의 형태; roundness, 작게 크게 동그랗게 타원으로 등등)''을 변경할 수 있다. 기억해 둘 것은, 기체(우주선)에는 ''조타(操舵; steering)''라는 개념이 없다는 것이며, 항주(航走; drifting) 중인 기체의 방향이 어디를 향하건, 엔진이 분사되었을 때 향하고 있는 방향이 그 기준이라는 점이다. (반동추진-- 反動推進 --의 개념으로 reaction propulsion) | |
− | |||
− | |||
− | |||
− | + | 궤도를 일주(一週)하는 동안 항법구([[navball]])가 서서히 회전을 하는데, 1회 일주할 때 정확히 1번 회전을 하게 된다. 이는 항법구의 기준점이 태양(항성계의 중심 별)이나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여타의 별들이 아니라 궤도의 중심인 행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행성을 한바퀴 돌면, 여러분의 위치도 항상 행성에 대해 상대적으로 변화되며, 항법구의 회전도 마찬가지가 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항법구의 노란 원형 표식(순행표식; [[prograde]] marker) 또는 "정면(정뱡향; straight ahead),"은 궤도의 회전방향을 향해 계속 움직인다. 왜냐면, 궤도는 원형이지 직선이 아니기 때문이며, 그래서 이 표식은 항상 움직이게 된다. 행성의 한쪽 방향(예를들어, 시계방향)을 ''정면''으로 바라 본다는 것은 반대 방향(반시계방향)의 경우에는 ''뒷면''을 바라 보고 있다는 뜻이다.<ref>원 운동을 하기 때문에 시계방향으로 회전 중일 때의 정면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중일 때는 뒷면이 될 수 있다는 의미.</ref> | |
− | |||
− | |||
− | |||
− | + | 궤도의 고도를 높이기 위해 가속을 하고자하면, 기체의 기수(nose)를 순행표식(prograde marker)에 맞추고 엔진을 점화해야 한다. 기타 다른 방향(궤도의 순/역방향 이외)으로 기수를 잡고 가속, 감속 등의 여러가지 조합으로 분사를 하면 궤도를 기울이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수도 있다. | |
− | + | <br /><br /><br /> | |
− | |||
− | + | == 재진입과 착수(splashdown) == | |
+ | 커빈으로 돌아올 준비가 되었다면, 행성의 대기권으로 떨어질 수 있을만큼 궤도의 고도를 ''낮춰(decay)'' 줘야 한다. 그 지점에서는 공기층이 속도를 떨어뜨려 기체를 지상-- 낙하산(다들 낙하산 기억나시죠, 그쵸?)이 부드러운 착륙을 보장해주리라 --으로 떨어지게 만든다. | ||
+ | 궤도 이탈을 하여 근점(近點; [[periapsis]])을 30,000 미터까지 낮추기 위한 충분한 연료가 있어야 함은 당연하다. 만약 연료가 바닥났다면, 애석하게도 여러분의 운은 여기까지라고 생각해야 하며 아마도 영원히 커빈의 궤도를 돌게 되리라. | ||
− | |||
− | + | 연료가 충분한 것을 확인했다면, 원점표식(遠點標識; [[apoapsis]] marker)에 도착할 때까지 기다린다. 비록 어디에서든 궤도 이탈이 가능하지만, 최고 고도지점인 원점(apoapsis)에서 궤도-이탈 분사(de-orbit burn)을 시작하면 좀 더 효율적인 연료와 시간을 소비로 목적을 이룰 수 있게 된다. | |
− | |||
− | + | 항법구를 ''지표 또는 지상(Surface mode)''이 아닌 ''궤도(Orbit mode)''로 바꿔놓는다. 항법구에서 역행표식([[retrograde]] marker, 녹색 원안에 X가 그려져 있는<ref>0.25 버전에서는 노란색</ref>)이 보이도록 방향을 전환한다. 아마도 항법구의 청색과 갈색 수평선에 걸쳐져 있을 것이다. 청색편이든 갈색편이든 전후좌우 어디에 있든 상관없으며, 오직 역행표식(retrograde, or ''backwards'', marker)에 맞추어 역방향으로 분사를 하면 된다. | |
− | |||
− | |||
− | + | {{Key press|M}}을 눌러 지도 화면(map view)으로 간다. 원점표식(apoapsis, high point, marker)으로 가까이 가는 동안 계속해서 근점표식(periapsis, low point, marker)을 주시한다. {{Key press|좌측 시프트}} 살포시 여러번 눌러 출력을 높이고 속도가 낮아지면서 근점(periapsis) 또한 낮아지는 것을 지켜본다. 근점이 25,000 미터가 될 때까지 출력을 유지한다. 커빈의 대기권에 제대로 진입한 것으로, 비록 파란색 기체의 비행 궤적이 여전히 행성 둘레를 도는 원을 유지하고 있어도, 실제로는 그렇게 되지 않는다. 연료만 충분하다면, 역행분사(retrograde burn)를 계속해서 원형의 궤도가 아닌 지상을 향해 수직으로 내리꽂는 비행궤적을 만들어도 된다. 어느 쪽이든 이제 지상으로 가게 되는 것을 같다. | |
− | |||
− | + | 자 이제 느긋하게 앉아 궤도가 낮아지는 것을 기다리자. ({{Key press|> 또는 .}}을 눌러 시간을 가속하면 빨리 진행시킬 수 있다. 고도가 70,000 미터가 되면 자동으로 시간가속 배율이 1배속(1x)로 줄어드는데 대기권이 돌입하기 시작했다는 것을 나타낸다.) | |
− | |||
− | |||
− | |||
− | + | 마지막 엔진을 분리시켜야 한다는 것을 잊지마라! 연료를 실은채 무시무시한 재진입을 원치는 않을 것이다. {{Key press|스페이스}}를 눌르면 유일하게 남아있던 추진체를 잃게 된다. 이제 여러분의 기체는 중력의 손 안에 있게된다. 기체의 속도가 초속 2,000 ~ 3,000 미터(m/s) 근처에서 조금씩 증가할 것이다. 추락중이군--너무 빠르다! NASA 권장 재진입 방식을 흉내내어 기체의 뒷꽁무니로 진입할 수도 있다. (사실상 별반 차이는 없지만 웬지 멋있어 보이잖아 ㅋㅋ.) | |
+ | |||
− | + | 30,000 미터 근처에서 속도가 더이상 빨라지지 않고 느려지는 것이 느껴질 것이다. 심지어 돌덩이처럼 추락중이지만, 대기층이 기체를 늦춰준다. 한편, 이 고도에서부터 기체가 대기층에서 달궈지며 생기는 재진입 불꽃(reentry glow)을 볼 수 있게 된다. 이 불꽃은 18,000 미터 근방에서 사라지며, 기체의 강하 속도도 초속 1,000 미터 정도로 낮아진다. 커빈 지상을 향해 초속 수백 미터로 돌진하고 있기는 하지만, 공기저항으로 인해 점점 느려지는 것이다. | |
− | |||
− | + | 슬슬 낙하산을 펼칠 시기를 생각해야한다. KSP에서의 낙하산은 좀 유연한 편이다: 대충 아무 고도에서나 펼쳐도 제 기능을 한다. 분명한건, 지표와 충돌전에 펼쳐야 한다는 점이며, 마찬가지로 너무 빨리 펼쳐서 재진입 때 타버리게 한다거나 너무 늦게 펼쳐 충분히 감속을 못한채 지상에 충돌하는 일이 없어야 한다는 것이다. 대략 10,000 미터 이하 3,000 미터 이상 사이의 고도에서 펼치도록 하자. 주의할 것은 여러분이 보고 있는 고도계는 해수면을 기준으로 한 고도이지 지표면을 기준으로 하는 고도가 아니라는 점이다. 만약 고산지대 위에 위치한다면, 마음속으로 수천미터는 제해야 한다는 점을 감안하고 고도를 예측해야 한다. | |
− | |||
− | + | 다시 비행 화면에서 마지막으로 {{Key press|스페이스}}를 눌러 낙하산을 펼치자. 이 때 낙하산의 모양은 ''원추형(drogue mode)''에 가까운데, 서서히 기체의 속도를 늦춰준다. 정확하게 지상 500 미터에 도달하면 낙하산이 완전하게 펼쳐지게 된다. 카메라를 돌려보면, 아까 분리했던 엔진이 혼자 비행하다 지상에 충돌해 터지는 장면도 볼 수 있을 것이다. | |
− | |||
− | + | 기체(capsule)가 해수면 또는 지표에 무사히 착수/착륙하면, 화면 상단 중앙의 '''기체 회수(Recover Vessel)'''를 클릭하여 이번 임무를 성공적으로 종료하도록 하자. | |
− | |||
+ | (만약 육지에 착륙했다면, 구경하는셈치고, 우주비행사(Kerbonaut) 창의 '''EVA'''를 눌러 기체 밖으로 나와 선외활동을 해보자. 우주비행사를 이동시키려면, {{Key press|A|S|D|W|chain=}}를 이용하면 된다.) | ||
+ | <br /><br /><br /> | ||
− | [[Category:Tutorials| | + | ==각주== |
+ | <references /> | ||
+ | <br /><br /><br /> | ||
+ | [[Category:Tutorials/ko|Walkthrough for Ye Compleat Beginner/ko]] |
Latest revision as of 19:06, 2 May 2019
Contents
관련 글타래
- 『대문』 - KSP 위키의 한글 대문
- 『시작하기』 - KSP에 대한 기초적인 안내
- 『게임 설명서』 - 심도있는 기술적 이해를 돕는 문서
- 『입문서(Tutorials)』 - 게임 진행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총망라한 문서
신참을 위한 길라잡이
KSP를 해 본 적 없으시다구요? 요상한 단어와 조작법 그리고 거지같은 수학 때문에 혼란스러우시다구요? 이 입문서를 따라오시면 최초의 두 로켓을 발사하는데 필요한 모든 절차를 숙지할 수 있습니다.
상기(詳記)
- 소요시간: 5–30 분
- 난이도: 쉬움
- 버전: 전 버전
도전! 첫번째 로켓 발사
이 글을 읽고나면 게임을 시작하고, 로켓을 고르고, 발사하고, 지구 아니 커빈으로 안전하게 귀환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하면 세명의 무모한 우주비행사를 공전 궤도에 올려놓게 될 것입니다, 아마도 영원히...
1단계 - 커발 스페이스 프로그램 시작하기
당연하게도 게임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우선 KSP를 시작하는 것이 첫 단계겠죠. 각오를 단단히 하세요, KSP는 구동하는데 제법 오랜 시간이 걸린답니다. 화면 좌측 하단 모서리의 노란 점(우주 테이프를 푸는 중, 재치있는 구동 힌트 발명중, 스프링 시험중 따위의 귀여운 문구를 가장한)은 기나긴 진행막대의 시작이랍니다. PC 사양에 따라 1~3분 정도 소요됩니다.
- 시작하기(Start Game)를 선택하세요. (원한다면 곧바로 시작하지 않고, 설정변경(Settings)으로 살짝 돌아가 조작단추(Key bindings)를 변경하는 일을 해도 되죠. 다만, 그리하면 기본 조작단추(Key bindings)를 기준으로 작성한 이 문서와 여타 입문서들에서 약간 복잡한 상황에 직면하게 될 수 있답니다.)
- 새로시작하기(Start New)를 선택하세요.
- 이름 혹은 별명을 입력하세요.
- 샌드박스(Sandbox)를 선택하세요. (커리어(Career) 말고...)
- 시작(Start) 선택하세요.
다음에 시작할 때는 새로시작하기 대신 불러오기(Resume Saved)를 선택하세요. 전에 저장한 게임을 불러와서 진행하게 됩니다.
2단계 - 발사대로~!!!
자, 이제 멋드러진 커발 우주단지의 전경이 보일겁니다. 게임내에서 이미 만들어진 기성 로켓을 바로 쏴 볼건데요. 화면 상단 오른쪽에 있는 '발사대(launch pad)'를 클릭해 보세요. 발사대를 선택했었다는 걸 이미 눈치 챘었죠? 화면 하단 왼쪽에 발사대라고 떡하니 나오니까 말이죠. 커발 2[Kerbal 2 (Stock)]를 선택하세요. 스톡(Stock)이라는 이름이 붙어 있는 것은 게임에서 미리 만들어져 있던 로켓이라는 뜻이랍니다. 추후에 자신만의 로켓을 만들면, 요 목록에 나타나게 되죠. 화면 상단 우측의 발사(Launch) 단추를 누르세요.
자, 이제 발사대에 놓여있는 땅딸막한 로켓을 볼 수 있습니다. 자, 거의 다 왔어요~! 그 전에 몇가지 기초적인 작업을 배워둘까요.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고 움직여 카메라 시점을 변경해보세요.
숫자 키패드에 있는 +-로 확대도 해보고 축소도 해보세요.
마우스에 휠이 달린 것이면, 같은 기능을 합니다.
여러분의 귀염둥이(?) 커보너츠(Kerbonauts; 커벌 우주비행사) 세마리가 화면 하단 오른쪽에서 발사 준비가 되어 있다고 하는군요.
로켓을 한번 둘러봅시다. 세개의 가냘픈(?) 지지대는 로켓의 부품은 아닙니다. 로켓을 고정시켜주는 지지 구조물이랍니다.
3 단계 - 첫번째 발사 중단
스페이스를 누르세요. 로켓이 그냥 땅으로 떨어지고... 아무일도 없군요. 어찌 된 걸까요?
모든 로켓 발사는 발사 단계 혹은 비행 단계(Stages)에 따라 진행되며, 각 단계의 진행은 스페이스를 눌러 합니다. 커발 2 로켓 (Kerbal 2 rocket)은 3단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첫번째 단계에서는 로켓 엔진을 점화하고 지지대를 분리하죠. 어쨌거나, 현재 엔진의 출력은 0%네요. 출력 높이는 걸 깜빡했군요. 자, 그럼 문제를 고치고 다시 도전해봅시다.
4 단계 - 발사 성공!!!
⎋ Esc 로 게임을 잠시 멈추세요. 비행 되돌리기(Revert Flight)를 선택해 발사 되돌리기를 해보죠. 이것은 시간을 되돌려서 발사 과정의 초기로 돌아갈 수 있답니다.
왼쪽 시프트를 몇초간 눌러주세요. 출력을 증가시켜 100%가 되도록 합니다. 완료가 됐다면, 스페이스를 누르세요. 자, 드디어 로켓이 발사되었군요!
대략 5초후 (고도 1500미터 정도), 로켓의 연료가 다 떨어집니다. 스페이스를 눌러 다음 비행 단계(Stage)로 진행합시다. 폭발식 연결나사가 터지며 큰 소리가 나는 걸 들을 수 있는데, 뭐 별다른 일은 없으니 안심하세요. ASDW을 눌러 보세요. 캡슐이 연료가 떨어진 부스터 엔진으로 부터 멀어져야 합니다. 뭐 돈드는거 아닙니다.
이제 세번째로 스페이스를 눌러 낙하산을 펼치세요. 고도에 따라서는 낙하산이 완전히 펼쳐지기도 하고 반만 펼쳐지기도 한답니다. 지상으로 부터 500미터 정도되면 자동으로 펼쳐지게 됩니다. (이때 500미터는 해수면 높이가 아니라 지상으로부터의 높이랍니다)
매의 눈(?)으로 카메라를 돌려(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채) 주위를 둘러보면, 부스터 로켓이 땅으로 추락해 산산히 부숴지는 것도 볼 수 있을 거예요. (만약 연료가 남아있다면, 폭발하기도 하죠.)
캡슐과 우리의 귀염둥이 커보너츠 세마리는 지면(약 68미터; 우주단지가 있는 지표의 고도)에 부드럽게 착지할 때까지 자유낙하를 하게 됩니다. 착지하면 낙하산은 자동으로 사라지죠.
화면 상단 중앙 위쪽으로 마우스를 가져가면 나타나는 기체 회수(Recover Vessel)라는 녹색 표식을 누르세요.
완료!!! 준궤도 처녀 비행을 축하합니다!!!
도전! 두번째 로켓 발사 : 궤도 진입하기
그냥 공전궤도까지 수직으로 올라 가는 거냐구요? 안타깝게도 아니랍니다. 더 크고 성능 좋은 로켓으로도, 그냥 하늘을 향해 곧장 쏘아진 로켓으로는 언감생심이죠. 궤도 안착에는 단순하지만 아주 중요한 전술(기동)이 필요합니다. 자, 우선 좀 큰 놈(로켓)을 고르는 것으로 시작해 볼까요!
첫째, 대형 로켓 선택
커발 우주단지로 가서, 발사대를 선택하고, 커발 엑스(Kerbal X (Stock))를 고른 후 발사를 누른다. 커발 엑스는 더 크고, 9단(0 ~ 8로 구성)에 이르는 다단계 로켓이다. 커발2와 같이 이동식 발사 지지대(gantry support system)로 고정되어 있다. 곧 이 지지대의 중요성을 알게 될 것이다.
두번째, 발사
- T를 누른다. 로켓이 휘청이는 것을 막아준다.
- 시프트를 눌러 출력이 100%이 되도록 한다.
- 스페이스를 눌러 엔진을 가동한다. 지지대에 의해서 로켓은 여전히 그 자리에 서 있을 것이다.
- 재빨리 스페이스를 또 눌러 지지대를 분리시킨다. 이륙!!!
세번째, 비행 단계별 엔진 사용
7개 엔진이 동시에 분사된다는 점을 주의하라. 화면 하단 왼쪽의 녹색 막대는 연료량을 보여준다. 모두 동일하지는 않을 것이다. 어떤 엔진은 상대적으로 용량이 작아 빨리 연료가 줄어 들 것이다. 비어버린 연료통과 엔진은 불필요한 무게를 발생시키므로 재빠르게 떨어뜨리자. 특히, 중앙의 2개 엔진은 빨리 연료가 소모될 것이다. 그 두개의 연료량을 주의깊게 살펴보다, 연료가 떨어지면(대략 600 ~ 700미터 근방) 스페이스를 눌러 다음 비행 단계로 넘어가자. 커발 엑스 로켓은 이 두개의 소형 엔진을 이 단계에서 분리하도록 고안되어 있다. 남은 엔진들은 계속 연소가 될 것이다.
남은 5개 엔진도 역시 다른 비율로 연소가 된다. 맨 아래의 연료량 2개가 비어지면, 스페이스를 눌러 버린다.
이제 3개의 엔진이 남는데, 여전히 다른 비율로 연소된다. 적절한 시기에 비어버린 엔진을 스페이스로 떨구도록 한다.
네번째, 중력선회(Gravity Turn)
약 6,000 미터 정도 수직으로 상승하며, 1개의 엔진만 남게 된다. 내려다 보이다 커빈 행성이 점점 둥글게 보이기 시작할 것이다. 화면 하단의 파란 항법구(navball)를 보라. 그 항법구의 바로 위쪽에 있는 녹색글자가 있는 부분을 클릭하면 궤도(Orbit)에서 지표(Surface)로 바뀐다.
약 10,000 미터 (정확하게 맞출 필요는 없다)에 도달하면, D를 눌러 로켓의 머리가 오른쪽 45도 정도 각도(항법구를 보며 맞추면 수월함)에 오도록 한다. 약간 흔들거리겠지만, 상관없다.
항법구가 회전하기 시작하며, 가운데 있는 금색의 브이표식이 노란 원('target') 표식에 가까워 질 것이다.
두 표식이 일치 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이따금 D를 눌러줄 필요가 있다.
약 30,000 미터에 도달하면 연료가 3분의 2가량 소모되므로, 여러 번 왼쪽 컨트롤을 눌러 출력을 50%까지 줄인다.
M눌러 지도 화면으로 전환한다.
마우스 우클릭을 한 상태로 행성 전체가 보이도록 마우스를 움직여주면, 로켓의 궤적을 보여주는 옅은 푸른 색의 호가 보일 것이다. 이때의 호선을 보면, 하늘로 곧장 올라왔다 다시 땅을 향해 내려가는 모양이다. 이러면 안되는데예... 궤도를 수정할 차례가 되었다.
파란색의 궤적을 따라가면 커빈 원점(遠點)(원행점Apoapsis 또는 원지점apogee은 우주선의 궤도에서 가장 높은 지점을 뜻한다)이라고 표시된 파란 표식이 보인다. 현재의 방향과 속도를 유지할 때 로켓이 오를 수 있는 가장 높은 고도를 보여준다.
현재 지도화면에서는 아마 항법구navball가 안보일텐데, 화면 중앙 하단의 작은 화살표 표시를 눌러 보이도록 해준다.
마우스를 원점 표식 위에 올리고, 고도가 높아지는 것을 살펴보자. 100,000 근방(120,000 아래로 유지한다)에 이르면 X를 눌러 엔진을 정지시킨다.
(만약 중간에 연료가 다 떨어지면, 스페이스를 눌러 엔진을 분리시키고, 다시 눌러 다음 단계의 엔진을 점화시켜준다.)
이제 로켓이 부유하게 되기는 하지만, 당분간은 관성에 의해 여전히 상승하게 된다. 이때 ASDW를 이용한 로켓 조종이 굉장히 둔해진다. 엔진이 꺼졌어도, 내장된 타성-평형 장치(inertial-stability system)는 여전히 작동을 하기 때문이다. 엔진을 재점화하면, 조종이 다시 정상적으로 될 것이다.
시간이 좀 된다면, M을 눌러 비행 화면(normal staging view)으로 되돌아가가 로켓 주변의 경치를 감상하도록 한다.
다섯번째, 궤도 진입
원점 표식에 닿기 10초 전쯤, 로켓을 기수(방향)를 항법구의 노란 원형 목표 표식(순행[1]표식prograde mark) - 아마도 항법구의 청색/갈색 수평선 근처에 걸쳐져 있을 것이다 - 쪽으로 맞춰준다. 절대 녹색의 원형 X 표식(역행[2]표식retrograde marker)을 향하고 있으면 안된다.
좌측 시프트로 출력을 절반 정도로 높여준다.
옅은 파란색의 궤도가 점차 커지는 것을 주의해서 본다. 호를 그리던 궤도가 나중엔 행성 주위를 감싸는 원 모양으로 바뀔것이다. 지도 화면에서 마우스로 배율을 축소하여 행성 전체와 궤도가 잘 보이도록 조정한다.
(출력을 높였음에도 갑자기 로켓이 정지한다면, 아마도 연료가 떨어져서 일 것이다. 걱정하지 마시라! 침착하게 스페이스를 눌러 다음 단계의 엔진을 점화시키자.)
로켓의 기수가 계속해서 노란 원형 표식(순행표식)을 향하게끔 항법구를 주시하자. 이 때 언제든 엔진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X를 누를 준비를 하여야 한다.
슈우욱!! 커빈(Kirbin)의 반대편 쪽에서 파란 근점(近點) 표식[3]periapsis marker이 갑자기 나타날 것이다.
마우스 커서를 이 근점표식 위로 가져가면 고도가 빠르게 높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약 20,000 미터 정도에 이르면 X를 눌러 엔진을 정지시킨다.
아싸~! 커빈의 위성궤도에 드디어 올라섰다!
여섯번째, 대기권 진입 회피
한가지 문제가 있다: 대기권(atmosphere)이 바로 그것! 커빈의 대기는 약 65,000 미터 까지 펼쳐져있기에 이 고도 안쪽으로 우주선이 비행할 경우 공기 저항으로 느려지다가 결국엔 타버리게 된다. 따라서, 근점(최저고도; periapsis)를 최소 70,000 미터 이상으로 높여주자.
항법구의 노란 원형 표식(순행 표식; prograde)에 기수를 일치시키고, 엔진은 낮은 추력을 유지한채, 근점 표식에 마우스 커서를 위치시켜 고도가 70,000미터가 넘도록 한다. 근점과 원점이 - 여러분이 그렇게 만들고 있으므로 -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할 것이다. 잘 되고 있는 것으로 계속되는 엔진 분사가 궤도의 모양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근점과 원점 모두 75,000 미터 이상이 되면 X를 눌러 엔진을 정지시키자.
일곱번째, 경치 감상
훌륭하군요. 이제 위성궤도에 안착하게 되었네요, 별다른 변경을 가하지 않는다면 문자그대로 영원히 말이죠.
시간을 가속해서 궤도를 도는 모습을 감상해봅시다. .를 누르면 시간가속 기능이 켜집니다.(,는 감속)
M을 눌러, 비행 화면(staging view)으로 변경한 후 경치를 감상해봅시다. 만약 행성의 그림자 부분에 있다면, 비행선을 보기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 장면에서도 시간을 역시 가속해 볼 수도 있겠죠. 여러가지 각도로 화면을 바꿔보세요. 커빈의 수평선 또는 지평선 너머로 해가 떠오르는 멋진 일출을 보세요.
엔진이 꺼져 있더라도, 이전보다 기체의 조종이 쉬울 것입니다. 기체가 작아졌기 때문이죠. 마지막으로 분리했던 엔진이 전체 기체 중량의 절반을 차지했으니까요. 남은 기체는 당연히 내장-평형 장치(inertial-stability system )로도 손쉽게 조종이 가능하게 된거죠.
기체 캡슐 내부 화면을 보고 싶으면, 비행 화면에서 우주비행사(Kerbonaut)의 모습이 보여지는 화면 우측의 작은 창에 마우스 커서를 올려 놓으면 생기는 IVA (선내활동; intra-vehicular activity)를 클릭하세요. EVA를 선택하지 마세요! 우클릭을 한 채로 마우스를 움직이면 조종석 내부를 둘러 볼 수 있습니다. C를 누르면 다시 비행 화면으로 빠져나옵니다.
이 기체(우주선)을 떠나 다른 기체로 시작을 해보고 싶다만, ⎋ Esc를 눌러 커벌 우주단지(Space Center)로 갑니다. 다음에 다시 이 우주선으로 되돌아오지 않는다면 이 기체(우주선)는 계속해서 현재의 궤도를 돌게 됩니다. 언제든 우주단지의 관제소(Tracking Station)에서 진행상황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머지않아 한꺼번에 다수의 비행을 진행하게 될텐데, 이 관제소에서 각각의 비행 임무로 언제든 접근할 수 있게됩니다. 기체(우주선)에서 떠나 있는 상태에서도 시간이 항상 흐른다는 점을 명심하세요; 궤도상에서 비행중이던 다른 어떤 임무를 수행하던간에 시간은 계속 흐르고 있습니다. 이 점은 나중에 중요한 사항이 되는데, 특히나 두 기체(우주선)의 랑데뷰(rendezvous)를 진행하거나 다른 행성으로의 장거리 임무를 수행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때 더욱 그렇습니다.
부록(Extra credit)
우주공간에서, 속도와 고도는 불가분(不可分)의 관계다. 궤도상에서, 고도는 속도를 결정하며, 역으로 속도는 고도를 결정하는 요소다. 고도를 그대로 유지한채 속도를 늦추거나 빠르게 할 수는 없다. 항상 그 고도에 부합하는 속도가 되어야 궤도를 유지하게 된다. 증속은 기체를 빠르게 한다기보다 높은 궤도-- 행성에서부터 보다 멀리 --로 가게끔 한다. 같은 식으로, 감속은 낮은 궤도-- 행성으로 좀 더 가까워 지는--로 이동시킨다. 다른 기체(우주선)를 동일 궤도 상에서 따라 잡는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영원히 두 기체는 만날 수 없을 것이다.
여러분의 궤도는 완벽한 원(perfect circle)이기보다는 타원(ellipse)에 가까울 것이다. 괜찮다 아니 오히려 좋다. 순행추진(循行推進; prograde, 움직이던 방향의 앞 쪽)이나 역행추진(逆行推進; retrograde, 움직이던 방향의 뒤 쪽) 분사를 통해 이 궤도의 원형(원의 형태; roundness, 작게 크게 동그랗게 타원으로 등등)을 변경할 수 있다. 기억해 둘 것은, 기체(우주선)에는 조타(操舵; steering)라는 개념이 없다는 것이며, 항주(航走; drifting) 중인 기체의 방향이 어디를 향하건, 엔진이 분사되었을 때 향하고 있는 방향이 그 기준이라는 점이다. (반동추진-- 反動推進 --의 개념으로 reaction propulsion)
궤도를 일주(一週)하는 동안 항법구(navball)가 서서히 회전을 하는데, 1회 일주할 때 정확히 1번 회전을 하게 된다. 이는 항법구의 기준점이 태양(항성계의 중심 별)이나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여타의 별들이 아니라 궤도의 중심인 행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행성을 한바퀴 돌면, 여러분의 위치도 항상 행성에 대해 상대적으로 변화되며, 항법구의 회전도 마찬가지가 된다.
항법구의 노란 원형 표식(순행표식; prograde marker) 또는 "정면(정뱡향; straight ahead),"은 궤도의 회전방향을 향해 계속 움직인다. 왜냐면, 궤도는 원형이지 직선이 아니기 때문이며, 그래서 이 표식은 항상 움직이게 된다. 행성의 한쪽 방향(예를들어, 시계방향)을 정면으로 바라 본다는 것은 반대 방향(반시계방향)의 경우에는 뒷면을 바라 보고 있다는 뜻이다.[4]
궤도의 고도를 높이기 위해 가속을 하고자하면, 기체의 기수(nose)를 순행표식(prograde marker)에 맞추고 엔진을 점화해야 한다. 기타 다른 방향(궤도의 순/역방향 이외)으로 기수를 잡고 가속, 감속 등의 여러가지 조합으로 분사를 하면 궤도를 기울이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수도 있다.
재진입과 착수(splashdown)
커빈으로 돌아올 준비가 되었다면, 행성의 대기권으로 떨어질 수 있을만큼 궤도의 고도를 낮춰(decay) 줘야 한다. 그 지점에서는 공기층이 속도를 떨어뜨려 기체를 지상-- 낙하산(다들 낙하산 기억나시죠, 그쵸?)이 부드러운 착륙을 보장해주리라 --으로 떨어지게 만든다. 궤도 이탈을 하여 근점(近點; periapsis)을 30,000 미터까지 낮추기 위한 충분한 연료가 있어야 함은 당연하다. 만약 연료가 바닥났다면, 애석하게도 여러분의 운은 여기까지라고 생각해야 하며 아마도 영원히 커빈의 궤도를 돌게 되리라.
연료가 충분한 것을 확인했다면, 원점표식(遠點標識; apoapsis marker)에 도착할 때까지 기다린다. 비록 어디에서든 궤도 이탈이 가능하지만, 최고 고도지점인 원점(apoapsis)에서 궤도-이탈 분사(de-orbit burn)을 시작하면 좀 더 효율적인 연료와 시간을 소비로 목적을 이룰 수 있게 된다.
항법구를 지표 또는 지상(Surface mode)이 아닌 궤도(Orbit mode)로 바꿔놓는다. 항법구에서 역행표식(retrograde marker, 녹색 원안에 X가 그려져 있는[5])이 보이도록 방향을 전환한다. 아마도 항법구의 청색과 갈색 수평선에 걸쳐져 있을 것이다. 청색편이든 갈색편이든 전후좌우 어디에 있든 상관없으며, 오직 역행표식(retrograde, or backwards, marker)에 맞추어 역방향으로 분사를 하면 된다.
M을 눌러 지도 화면(map view)으로 간다. 원점표식(apoapsis, high point, marker)으로 가까이 가는 동안 계속해서 근점표식(periapsis, low point, marker)을 주시한다. 좌측 시프트 살포시 여러번 눌러 출력을 높이고 속도가 낮아지면서 근점(periapsis) 또한 낮아지는 것을 지켜본다. 근점이 25,000 미터가 될 때까지 출력을 유지한다. 커빈의 대기권에 제대로 진입한 것으로, 비록 파란색 기체의 비행 궤적이 여전히 행성 둘레를 도는 원을 유지하고 있어도, 실제로는 그렇게 되지 않는다. 연료만 충분하다면, 역행분사(retrograde burn)를 계속해서 원형의 궤도가 아닌 지상을 향해 수직으로 내리꽂는 비행궤적을 만들어도 된다. 어느 쪽이든 이제 지상으로 가게 되는 것을 같다.
자 이제 느긋하게 앉아 궤도가 낮아지는 것을 기다리자. (> 또는 .을 눌러 시간을 가속하면 빨리 진행시킬 수 있다. 고도가 70,000 미터가 되면 자동으로 시간가속 배율이 1배속(1x)로 줄어드는데 대기권이 돌입하기 시작했다는 것을 나타낸다.)
마지막 엔진을 분리시켜야 한다는 것을 잊지마라! 연료를 실은채 무시무시한 재진입을 원치는 않을 것이다. 스페이스를 눌르면 유일하게 남아있던 추진체를 잃게 된다. 이제 여러분의 기체는 중력의 손 안에 있게된다. 기체의 속도가 초속 2,000 ~ 3,000 미터(m/s) 근처에서 조금씩 증가할 것이다. 추락중이군--너무 빠르다! NASA 권장 재진입 방식을 흉내내어 기체의 뒷꽁무니로 진입할 수도 있다. (사실상 별반 차이는 없지만 웬지 멋있어 보이잖아 ㅋㅋ.)
30,000 미터 근처에서 속도가 더이상 빨라지지 않고 느려지는 것이 느껴질 것이다. 심지어 돌덩이처럼 추락중이지만, 대기층이 기체를 늦춰준다. 한편, 이 고도에서부터 기체가 대기층에서 달궈지며 생기는 재진입 불꽃(reentry glow)을 볼 수 있게 된다. 이 불꽃은 18,000 미터 근방에서 사라지며, 기체의 강하 속도도 초속 1,000 미터 정도로 낮아진다. 커빈 지상을 향해 초속 수백 미터로 돌진하고 있기는 하지만, 공기저항으로 인해 점점 느려지는 것이다.
슬슬 낙하산을 펼칠 시기를 생각해야한다. KSP에서의 낙하산은 좀 유연한 편이다: 대충 아무 고도에서나 펼쳐도 제 기능을 한다. 분명한건, 지표와 충돌전에 펼쳐야 한다는 점이며, 마찬가지로 너무 빨리 펼쳐서 재진입 때 타버리게 한다거나 너무 늦게 펼쳐 충분히 감속을 못한채 지상에 충돌하는 일이 없어야 한다는 것이다. 대략 10,000 미터 이하 3,000 미터 이상 사이의 고도에서 펼치도록 하자. 주의할 것은 여러분이 보고 있는 고도계는 해수면을 기준으로 한 고도이지 지표면을 기준으로 하는 고도가 아니라는 점이다. 만약 고산지대 위에 위치한다면, 마음속으로 수천미터는 제해야 한다는 점을 감안하고 고도를 예측해야 한다.
다시 비행 화면에서 마지막으로 스페이스를 눌러 낙하산을 펼치자. 이 때 낙하산의 모양은 원추형(drogue mode)에 가까운데, 서서히 기체의 속도를 늦춰준다. 정확하게 지상 500 미터에 도달하면 낙하산이 완전하게 펼쳐지게 된다. 카메라를 돌려보면, 아까 분리했던 엔진이 혼자 비행하다 지상에 충돌해 터지는 장면도 볼 수 있을 것이다.
기체(capsule)가 해수면 또는 지표에 무사히 착수/착륙하면, 화면 상단 중앙의 기체 회수(Recover Vessel)를 클릭하여 이번 임무를 성공적으로 종료하도록 하자.
(만약 육지에 착륙했다면, 구경하는셈치고, 우주비행사(Kerbonaut) 창의 EVA를 눌러 기체 밖으로 나와 선외활동을 해보자. 우주비행사를 이동시키려면, ASDW를 이용하면 된다.)
각주
- ↑ prograde marker: 비행체의 관성운동 방향을 지시하는 표식
- ↑ retrograde marker: 비행체의 관성운동 방향의 반대을 지시하는 표식. 역자가 0.25버전에서 확인하기론 녹색이 아닌 노란색임.
- ↑ periapsis marker: 근행점(近行點) 또는 근점(近點)이라 하며 궤도의 가장 낮은 지점을 가리킴.
- ↑ 원 운동을 하기 때문에 시계방향으로 회전 중일 때의 정면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중일 때는 뒷면이 될 수 있다는 의미.
- ↑ 0.25 버전에서는 노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