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p view/ko
지도 화면은 보조 화면으로서 임무 수행 중 사용됩니다. 기체(로켓)와 천체들의 복잡한 궤적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이 화면에서는 다음과 같은 임무수행에 필요한 핵심적인 정보를 제공합니다 :
기본적으로 지도 화면에서는 기체의 조종이 불가능합니다 (출력을 정지시키는 X 같은 몇가지를 제외하면). 지도 화면에 있다가 다시 기체 조종을 하고자 한다면, 화면 아래쪽에 있는 조그만 회색 화살표를 클릭하자, 그러면 항법구가 다시 보여지고 조종기능이 작동됩니다.
Contents
항법/기동 Maneuvers
- → 원문 : Maneuver node
지도 화면이 현재 궤도의 모습을 실시간으로 보는데 유용한 수단이기는 하지만, 진정한 활용처는 "항법(기동)도구"라 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러분이 궤도나 추진(분사)을 위한 계획을 짤 수 있도록 하며, 여러분이 원하는 바를 정확하게 끝마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해줍니다. 항법도구는 도킹작업을 수행하는데 있어서도 대단히 유용합니다.
항법도구 사용법
마우스를 여러분의 궤도(궤적) 위로 가져가면 자그마한 반투명의 청색 아이콘(조타점 maneuver node)이 나타날 것입니다. 좌클릭을 하여 메뉴를 불러낸 후 "조타(기동) 추가하기" Add Maneuver를 선택합니다.[1]
이제 6개의 아이콘이 나타나는데 각각 마우스로 클릭한 채 움직여(drag) 어떤 변화가 생기는지 확인해봅니다. 이때 6개의 아이콘은 각각 그 방향으로 추진(분사)을 했을 때를 가정한 것입니다. 잘못된 지점에 조타점maneuver node이 만들어 졌거나 조타점을 지우고자 할 때는, 중심부분에서 마우스 우클릭을 한 후 생겨나는 작은 "X"표식을 선택하면 지워지게되며, 조타점을 가운데를 클릭한 채 항로상의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도 됩니다.
설정한 항법기동은 항법구에 표시되며, 여기에는 기동에 필요한 추진(분사)까지 걸리는 시간과 요구되는 델타 브이(속도증분)의 총량이 보여집니다. 또한 서로 연계되는 여러개의 항법기동을 설정할수도 있습니다. 다양한 항법기동을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궤도 작도방식 설정[2]
settings.cfg의 PATCHED_CONIC_DRAW_MODE를 수정하여 지도 화면에서 궤도를 그려주는 방식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 0 - 물체(천체) 중심 궤적 Local to body[3] : 구획들(Patches)[4]을 궤도 운동을 하는 물체(천체)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그려주는 방식입니다.
- 1 - 인력권 진입시의 궤적 Local at SOI entry UT : "0"번과 같은 방식이지만, 작동되는 시점을 물체(천체)의 인력권에 진입할 때 그려주는 방식입니다.
- 2 - 인력권 탈출시의 궤적 Local at SOI exit UT : "1"번과 같은 방식이지만, 작동되는 시점을 인력권을 벗어나는 순간으로 하는 방식입니다.
- 3 - 상대적(연속된 선 방식) Relative(continuous line mode) (기본값) : 궤도 운동을 하는 그 물체(천체)를 기준으로 그려주는 방식입니다.[5]
- 4 - 동적 Dynamic : 실험적인 방식으로 궤도 운동의 중심 물체(모체 母體)와 주위를 도는 물체(부속물 附屬物體)의 상대적인 궤적을 혼합하는 방식입니다.
작도방식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이 영상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유튜브 영상
주석
- ↑ 역자주: 항법술은 기본적으로 배를 운항하는 기술에서 넘어온 용어가 항공항법에도 그대로 사용되는 것이 많아 보입니다. 따라서 전문적인 항법 교본을 구해보지는 못하나, 대략 한국해기사협회 등에 대한 구글검색을 통해 가급적 현장에서 사용되는 한글용어를 차용해 봅니다. 현업에 종사하는 분이 계시다면 전문지식으로 조언을 주시면 좋겠군요. 로켓과학쪽은 논문이나 자료가 거의 영문이거나 영단어를 그대로 적는 사례가 대부분인대 그나마 외래어로 정리를 한 경우도 찾기가 쉽지 않은 한글 불모지더군요. 접근자체가 쉽지는 않아 어줍잖은 의역이 많다는 점을 밝혀둡니다.
maneuver와 관련하여 용어 정리를 하면, 항법과 관련된 전체적인 체계/도구를 가리킬 때는 "항법체계/도구", 각각의 기동이나 움직임(로켓이나 항공기의 조종을 의미)을 가리킬 때는 즉 단순히 "maneuver"라고 할 때는 "기동" 또는 "조타"내지 "항법기동", "maneuver node"는 "조타점" 또는 "전타점"으로 정리합니다. "Orbital trajectory"는 궤도 운동을 하는 물체의 궤적이라는 의미인 듯 하여 "궤도"나 "궤적" 중 뜻이 잘 통하는 한가지를 혼용하여 사용합니다. 이 문서에는 "orbital projection"이라는 단어가 자주 쓰이는데 "궤도 투영도"가 정확한 해석이겠으나 해상항법에서는 "타선"이라는 말이 많이 쓰이기도 하더군요. 아무래도 이 게임은 우주 항공 분야이기에 "타선"을 그대로 쓰기가 좀 그래서 이 또한 단순하게 "궤도"나 "궤적" 중 한가지를 혼용하여 사용하도록 하겠습니다.
- → 참고하기: Maneuver node
- ↑ 역자주: KSP에서는 우주선(기체)과 행성 등이 움직이는 궤도를 간략화된 물리설정으로 구현하고 있는데, 여기에 쓰이는 방식이 "맞대어진 원뿔곡선 접근법" 또는 "이어진 원뿔곡선 접근법"으로 번역할 수 있는 "patched conic approximation" 방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항목에서는 이런 방식으로 궤도를 그릴 때 기준을 삼는 물체나 영향을 미치는 물체를 어떤 것으로 하는가를 사용자 입맛에 맞도록 바꾸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 → 참고하기: 용어정의 중력권
- ↑ 역자주: "Local"은 설명에 있는 "구획(Patch)"과 같은 의미로 사용된 것 같으나 "궤적"이라는 뜻도 있어 좀 더 자연스러운 단어쪽으로 번역을 하였습니다. 전체적으로 정확한 의미를 이해하지 못하고 번역한 관계로 매끄럽지 못한 점 양해바랍니다. 전문가의 손길이 필요합니다!
- ↑ 역자주: 궤도를 형성하는 또는 궤도의 영향권/범위가 미치는 구역/구획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 ↑ 역자주: 원문은 'Patches are drawn in relation to the current body being orbited.'인데, "being orbited"를 해석하는게 좀 애매하군요. 궤도 운동을 하는 물체(천체)를 말하는지, 그 궤도의 중심 천체를 말하는지 말이죠. 아래의 "4번"을 보면 "parent body"라는 표현이 별도로 존재하는 것을 보면 전자를 뜻하는 것으로 보이긴 합니다. "0번"은 '위치'를 기준으로 하고, 이것은 궤도 운동 중인 '물체'를 기준으로 하는것에 차이가 있다는 것은 확실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