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ce between revisions of "Kerbol/ko"

From Kerbal Space Program Wiki
Jump to: navigation, search
(improvement)
m (Reverted edits by Rocketing Rudolph (talk) to last revision by Qkrckdwls1004)
 
(48 intermediate revisions by 15 users not shown)
Line 1: Line 1:
{{:Kerbol/Data}}
+
{{Infobox/Body}}
 +
'''커볼''' (공식 명칭은 '''태양''' 혹은 '''별''') 은 KSP에 등장하는 모든 행성들의 모항성으로 이 항성계를 흔히 '''커볼계''' 라고 부르며, 0.90.0 버전을 기준으로 5개의 행성인 '''[[Moho/ko|모호]]''', '''[[Eve/ko|이브]]''', '''[[Kerbin/ko|커빈]]''', '''[[Duna/ko|듀나]]''', '''[[Jool/ko|쥴]]'''과 2개의 왜행성인 '''[[Eeloo/ko|일루]]''', '''[[Dres/ko|드레스]]'''가 커볼의 주변을 각기 다른 궤도에서 공전하고 있습니다.
  
케르불(Kerbol) (공식적으로는 '''태양''', 또는 '''별''') '''[[Kerbol System/ko|케르불 시스템]]'''(Kerbol System) 의 중심에 있는 별입니다. 이 별을 중심으로 다섯 행성과 두 왜행성이 주변을 돌고 있습니다.
+
커볼이란 이름은 공식 명칭이 아닌 팬이 만든 이름으로 커발과 라틴어로 태양을 뜻하는 SOL의 합성어입니다. 0.11 버전 이전에는 천구상에 존재하는 배경에 불과했습니다. 거리도 무한이였고 접근도 불가능했으나 이후에는 실제 모델링도 생겨나고 도달할 수 있으며, 너무 가까이 접근하면 과열로 우주선이 폭발하는 것까지 구현되었습니다.
  
다섯 행성 : '''[[Moho/ko|모호]]'''(Moho), '''[[Eve/ko|이브]]'''(Eve), '''[[Kerbin/ko|케르빈]]'''(Kerbin), '''[[Duna/ko|듀나]]'''(Duna), '''[[Jool/ko|줄]]'''(Jool)
+
== 게임 내 설명 ==
  
두 왜행성 : '''[[Eeloo/ko|이일루]]'''(Eeloo), '''[[Dres/ko|드레스]]'''(Dres).
+
{{Quote
  
현실의 [[w:ko:태양|태양]]에 비해 113배 작은 크기이며 3배 더 작은 반지름을 가지고 있습니다. 케르불은 온도를 기준으로 [[w:ko:K형 주계열성|K형 주계열성]] 항성이지만, 크기에 따라 [[w:ko:적색 왜성|적색 왜성]] 일수도 있고, 또는 밝기에 따라 [[w:ko:G형 주계열성|G형 주계열성]] 일수도 있습니다.  
+
|커볼은 낮하늘에서 가장 쉽게 눈에 띄는 천체입니다. 과학자들은 커볼을 너무 오래 응시할 경우, 타는 듯한 느낌과 <br>잠재적인 실명에 대해 경고했지만, 이 빛나는 별이 커발들을 정상적으로 유지하고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만 합니다.
  
표면 바로 위 궤도의 속도는 66.945km/s로 409.214분의 궤도 주기를 제공합니다.
+
|커발 천문학 협회}}
  
== Reference Frames ==
+
== 궤도 ==
 +
커볼을 공전하는 모든 천체의 중력 영향권을 벗어나면 커볼을 공전하게 됩니다. 커볼로부터 1,000 Mm (1 메가미터 = 1백만 미터) 거리에 들어서면 커볼 고궤도에 진입하게 되며, 커볼의 고궤도에서는 과학 장비를 구동시켜 여러 종류의 과학 점수를 얻을 수 있습니다. 커볼 저궤도에는 일반적인 호만 전이 궤도를 통해 진입할 수 있는데, 커빈의 궤도에서 커볼 저궤도로 진입하는 호만 전이 궤도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약 8 km/s 의 델타-V가 필요합니다. 
 +
 
 +
커볼의 표면으로부터 60만 m 고도까지 접근하게 되면 갑자기 과열되기 시작하며, 그 이상으로 접근하거나 과열이 오래 지속되면 우주선의 부품이나 EVA 중인 커벌을 파괴시켜 버립니다. 이 현상은 우주 쓰레기 및 모든 우주 비행체에도 동일하게 일어납니다.
 +
 
 +
커볼의 중력 영향권은 무한하며, 게임 내에서 도달 가능한 모든 영역에 적용됩니다. 커볼의 중력을 탈출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무중력 비행이나 궤도 이탈은 게임 내에서는 할 수 없습니다. 또한, 항상 원점 도달에 68년이 소요된다고 보여지는데, 그 이유는 커볼의 우주 시간을 처리하는 방법이 2<sup>32-1</sup>초로 제한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매우 강한 추진력을 가진 우주선을 발사해서 탈출 궤도에 진입하면 우주선의 정보에 "커볼을 탈출하는 중"이라고 표기되지만 실제로 벗어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
 
 +
=== 착륙 ===
 +
커볼에 착륙할 수 있기는 합니다. 모든 치트를 활성시키고 말이죠, 매우 빠르게 진행되는 과열이 표면에 도착하기도 전에 우주선 부품들을 파괴시켜버리지만. 소행성들은 10<sup>38</sup> 도까지의 열 저항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실상 모든 열을 차단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소행성을 포획하여 이를 열 차폐막으로 삼아 커볼에 접근하면 -250 m 까지 접근할 수 있고 그 이후에는 파괴되어 버립니다. 이후 비행 결과 창에는 "커볼의 표면에 충돌하여 파괴됨" 이라고 나타납니다.
 +
 
 +
== 온도와 밝기 ==
 +
[[File:Kerbol temperature.png|thumb|left|커볼 대기권의 온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
관측 가능한 커볼의 표면을 '광구' 라고 부르며, 온도는 약 5840 K 으로 노란색인 G형 주계열성에 속합니다. 이 광구를 둘러싸고 있는 얇고 뜨거운 대기층을 '채층' 이라고 부르며, 커볼의 표면으로부터 약 600 km 상공까지 존재하고 기압은 약 13kPa 정도입니다. 채층의 온도는 약 50 km 상공까지 상승하면서 약 4000 K 까지 낮아지다가 그 이후부터는 고도가 증가함에 따라 온도도 증가합니다. 대기가 존재하는 최고 고도에 도달하게 되면 온도는 최대 10,000 K 까지 상승하게 됩니다.
 +
 
 +
게임 내에서의 커볼의 크기와 온도를 기반으로 했을 때, 커볼의 밝기는 약 56.7 요타와트 (요타와트 = 10<sup>24</sup> 와트) 지만 이는 게임 내 다른 천체에 적용되는 물리값에 명백히 모순됩니다. 예를 들어 커빈에 도달하는 빛의 물리값이 m<sup>2</sup> 당 1340 W 로 나타나는데, 이를 기반으로 하면 커볼의 밝기는 약 3.16 요타와트로 실제 태양의 밝기의 0.0008 % 밖에 되지 않으며, 온도 또한 2840 K 으로 계산됩니다. 이러한 값을 통해 계산하면 커볼은 M형 주계열성인 적색 왜성에 속하게 됩니다.
 +
 
 +
== 물리적 특징 ==
 +
커볼의 반지름은 실제 태양계에서 가장 큰 행성인 목성의 4배고 게임 내에서 등장하는 행성 중에서 가장 큰 쥴의 약 43.6 배이며, 절대등급은 + 10 정도입니다. 커볼에 충분히 접근하면 다양한 크기와 모양의 흑점들과 노란색 표면을 관찰할 수 있는데, 이 노란색 표면을 통해 커볼이 G형 주계열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고 추측할 수 있습니다.
 +
 
 +
커볼의 '코로나' 는 커볼의 크기에 비해 과하게 크게 나타납니다. 또한 커볼로부터의 위치와 각도에 따라 상대적으로 다르게 보여서 특정 위치에서는 코로나가 매우 잘 관찰되는 반면, 때로는 코로나가 보이지 않고 커볼의 노란 표면만이 보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카메라나 망원경 모드를 사용해서 관측한 코로나 없는 커볼의 모습을 살펴보면 커볼의 크기에 비해 코로나의 크기가 얼마나 큰지를 실감할 수 있습니다.
 +
 
 +
=== 구버전에서의 모습 ===
 +
[[File:Kerbol.jpg|thumbnail|left|버전 0.11까지는 커볼이 천구상의 유일한 빛이였습니다]]
 +
버전 0.7.3에서는 커빈의 모항성으로 처음 등장했고 붉은 빛을 띄고 있었으며 거리가 무한이여서 가까이 접근하는 것 조차도 불가능했었습니다.
 +
[[File:KerbolSurface.png|thumbnail|버전 0.17에서의 커볼의 표면]]
 +
버전 0.11 부터 노란색을 띄게 되었고 표면도 생겨났습니다. 또한 접근도 가능하게 되었고 SUN (태양) 이라는 이름도 생겼으나 팬들은 이미 커볼이라고 부르고 있었습니다. 버전 0.13.3 부터 표면에 착륙할 수 있게 설정되었지만 표면에 접근하기도 전에 엄청난 열로 인해 모든 부품들이 폭발해버리거나 설사 표면에 접근하더라도 광속으로 튕겨저 나가게 되었습니다.
 +
 
 +
== 시간배속 기준표 ==
 
{{:Kerbol/RefFrame}}
 
{{:Kerbol/RefFrame}}
All Kerbol orbits are in an inertial reference frame. 구 체험판에서, 최대 타임워프를 할만큼 너무 가까이 가는것은 [[Deep Space Kraken/ko|깊은 우주 크라켄]](Deep Space Kraken) 의 공격을 불러일으켰다.
+
모든 커볼 궤도는 [http://ko.wikipedia.org/wiki/%EA%B4%80%EC%84%B1_%EC%A2%8C%ED%91%9C%EA%B3%84 관성계] 안에 있습니다. 구 체험판에선, 최대 타임워프를 할만큼 커볼에 너무 가까이 가는것은 [[Deep Space Kraken/ko|심우주 크라켄]]의 공격을 발생시킵니다.
 +
 
 +
== 트리비아 ==
 +
* "커볼"이란 이름은 KSP 포럼 회원들이 만든 이름으로 게임 내에서는 어디서도 표기되지 않습니다. 게임 개발자는 추후에 다른 항성계가 생겨 구분할 필요가 있으면 그 때 명칭을 바꿀 수도 있다고 했습니다
 +
* "커볼"은 'Kerbal[커발]'과 태양을 뜻하는 라틴어인 'SOL'의 합성어입니다
 +
* 커볼의 표면 중력은 커빈보다 2배 강하지만 이브의 중력보다 조금 쌘 정도입니다
 +
 
 +
== 실제 태양계와의 비교 ==
 +
실제 태양계의 태양에 대응되지만 질량은 113분의 1이고 지름은 3분의 1입니다. 온도는 3100K(켈빈)으로 온도만으로 보면 M형 주계열성에 속하고 지름으로는 적색 왜성에 속하며 질량은 갈색 왜성에 속해서
 +
실제 세계에 커볼이 존재한다면 항성이 되지 못했을 겁니다. 항성이 되기 위한 최소한의 질량은 목성의 75배 정도 되어야 합니다. 이는 현재 커볼의 10배가 넘는 수치입니다.
  
== 상식 ==
 
* 버전 0.7에서 0.10.1때 까지는 스카이박스의 빛나는 점이었다.
 
* 0.12에서 케르불은 중력을 얻었다.
 
* 0.13.3까지는 여전히 착륙할 수는 있었지만, 엄청난 중력 기울기 때문에 우주선이 부서질 수 있었고, 많은 조각으로 나늬어 바깥쪽으로 날아가버렸다.
 
* 0.14 이후, 접촉시 우주선을 파괴하고 모든 승무원을 죽이는 충돌이 발생한다. 
 
* 현재 케르불의 "표면"은 보이지 않으며, 또한 가상적인 작은 지름밖으로 4500~4700km의 고원으로 이루어져있다. [[Kraken/ko|크라켄]]이 조종을 어렵게 하며, 중력이 모든 엔진의 [[Terminology/ko#TWR|TWR]]을 1아래로 만들어버려 그곳에 착륙할 수 있는 방법은 알려진것이 없다. 편집된 파츠를 이용하면 착륙을 시도할 수 는 있으나, 착륙중 터지지 않으면 수백~수천 m/s로 튕겨나가버린다.
 
* 케르불은 [[Kerbin/ko|케르빈]]의 [[Mun Landing#Step 2 - To The Mun|호만 전이 궤도]]를 통해 도달할 수 있지만,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약 8km/s의 ΔV가 필요하다. [[Kerbin/ko|케르빈]]에서 케르불에 도달하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Tutorial:_Advanced_Orbiting#Bi-Elliptical_Transfer|이중 타원형 전이]]를 사용하는것이다. 충분히 먼 AP지점에서, 필요한 ΔV는 4km/s까지 줄어든다. 하지만 그만큼 비행소요시간이 매우 늘어난다.
 
* "케르불(Kerbol)"이라는 이름은 포럼회원에 의해 지어졌으며, 게임상에는 한번도 등장하지 않는다. 공식적으로, 간단히 "별(The Star)"이나 "태양(The Sun)"으로 표기된다. 하지만, 선임개발자는 다른 행성이 생겨 구분할 필요가 생길경우 언젠가는 그것의 이름이 바뀔것이라고 언급하였다.
 
* 케르불의 중력장은 무한하여 그것의 궤도를 벗어나거나, 무-중력 비행을 불가능하게 한다.
 
* 태양을 돌때 고도 최원점이 특정지점에 도달하면, 항상 최원점 도달에 68년이 소요된다고 알려진다. 그 이유는 케르불의 우주 시간을 처리하는 방법이 2<sup>32-1</sup>초로 제한되어 있기 때문이다.
 
  
== Gallery ==
+
== 갤러리 ==
 
<gallery>
 
<gallery>
KerbolSurface.png | A picture taken of a probe on a close encounter with Kerbol shortly before overheating.
+
KerbolSurface.png | 탐사선이 과열되어 폭발하기 직전에 찍은 사진
Kerbol17.png     | Up close it becomes evident that the glow is [[w:Nonagon|ennagonal]].
+
Kerbol17.png | 충분히 가까이 가면 커볼이[[w:ko:구각형|구각형]]으로 빛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Isa_kerbol.gif   | ISA MapSat 으로 촬영한 케르볼 행성 (ISA Mapsat 은 유저제작(pre-made) 플러그인으로부터 생성된"지도"이고, 지형데이터에 기반을 두지 않았다.)
+
Isa_kerbol.gif | ISA MapSat 으로 촬영한 커볼(ISA Mapsat 은 사용자가 만든(pre-made) 플러그인으로부터 생성된"지도"이고, 지형에 기반을 두지 않았습니다.)
Kerbolterrain.png   | Elevation shown on Kerbol
+
Kerbolterrain.png | 커볼이 보이는 높이
 
</gallery>
 
</gallery>
  
== Changes ==
+
== 변경점 ==
  
 
;{{Version|0.18.2|}}
 
;{{Version|0.18.2|}}
* Art pass.
+
* 외관 변경
 
;{{Version|0.17|}}
 
;{{Version|0.17|}}
* Actual model added, new sprite/flare effect, size changed.
+
* 실제 모델이 추가됨, 줄무늬와 [[w:ko:태양 플레어|플레어]] 효과, 크기가 수정됨
 
;{{Version|0.14|}}
 
;{{Version|0.14|}}
* 고체 표면이 추가됨 (featureless invisible plateau ~4500-4700 km above nominal radius).
+
* 고체 표면이 추가됨 (항성 주위로 보이지 않는 ~4500–4700&nbsp;km 의 층이 생김)
 
;{{Version|0.12|}}
 
;{{Version|0.12|}}
* 중력 추가, nominal radius of 65,400 km.
+
* 중력 추가, 반지름이 65,400 km로 변경
 
;{{Version|0.11|}}
 
;{{Version|0.11|}}
* Kerbol에 도달할수 있게됨.
+
* 커볼에 도달할 수 있게 됨
 
;{{Version|0.7.3|}}
 
;{{Version|0.7.3|}}
* 최초 릴리즈.
+
* 최초 릴리스
  
 
{{Celestial Bodies}}
 
{{Celestial Bodies}}
[[Category:Celestials]]
+
[[Category:Celestials/ko]]

Latest revision as of 18:29, 17 March 2017

커볼

(Kerbol)

커볼 (Kerbol)
커볼 을 궤도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항성
물리적 특성
적도 반지름 261 600 000 미터
적도 둘레 1 643 681 276 미터
겉넓이 8.5997404×1017 미터2
질량 1.7565459×1028 킬로그램
표준 중력 파라미터 1.1723328×1018 미터3/초2
밀도 234.23818 킬로그램/미터3
표면 중력 17.1 미터/초2 (1.747 그램)
탈출 속도 94 672.01 미터/초
항성 회전 기간 432 000.00 초
20 d 0 h 0 m 0 s
항성 회전 속도 3 804.8 미터/초
동기 궤도 1 508 045.29 킬로미터
인력권
대기 특성
대기 유무
대기압 16.0000 킬로Pa
0.157908 기압
대기권 고도 600 000 미터
1.6×10-7 기압
최저기온 3741.80 °C 4014.95 K
최고기온 9348.05 °C 9621.2 K
산소 존재 아니
연구 점수 획득 배수
지면 N/A
얼룩덜룩 한 N/A
대기 하층부 1
대기 상층부 1
천체 근처 우주공간 11
천체에서 먼 우주공간 2
회복 4

커볼 (공식 명칭은 태양 혹은 ) 은 KSP에 등장하는 모든 행성들의 모항성으로 이 항성계를 흔히 커볼계 라고 부르며, 0.90.0 버전을 기준으로 5개의 행성인 모호, 이브, 커빈, 듀나, 과 2개의 왜행성인 일루, 드레스가 커볼의 주변을 각기 다른 궤도에서 공전하고 있습니다.

커볼이란 이름은 공식 명칭이 아닌 팬이 만든 이름으로 커발과 라틴어로 태양을 뜻하는 SOL의 합성어입니다. 0.11 버전 이전에는 천구상에 존재하는 배경에 불과했습니다. 거리도 무한이였고 접근도 불가능했으나 이후에는 실제 모델링도 생겨나고 도달할 수 있으며, 너무 가까이 접근하면 과열로 우주선이 폭발하는 것까지 구현되었습니다.

게임 내 설명

커볼은 낮하늘에서 가장 쉽게 눈에 띄는 천체입니다. 과학자들은 커볼을 너무 오래 응시할 경우, 타는 듯한 느낌과
잠재적인 실명에 대해 경고했지만, 이 빛나는 별이 커발들을 정상적으로 유지하고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만 합니다.

커발 천문학 협회

궤도

커볼을 공전하는 모든 천체의 중력 영향권을 벗어나면 커볼을 공전하게 됩니다. 커볼로부터 1,000 Mm (1 메가미터 = 1백만 미터) 거리에 들어서면 커볼 고궤도에 진입하게 되며, 커볼의 고궤도에서는 과학 장비를 구동시켜 여러 종류의 과학 점수를 얻을 수 있습니다. 커볼 저궤도에는 일반적인 호만 전이 궤도를 통해 진입할 수 있는데, 커빈의 궤도에서 커볼 저궤도로 진입하는 호만 전이 궤도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약 8 km/s 의 델타-V가 필요합니다.

커볼의 표면으로부터 60만 m 고도까지 접근하게 되면 갑자기 과열되기 시작하며, 그 이상으로 접근하거나 과열이 오래 지속되면 우주선의 부품이나 EVA 중인 커벌을 파괴시켜 버립니다. 이 현상은 우주 쓰레기 및 모든 우주 비행체에도 동일하게 일어납니다.

커볼의 중력 영향권은 무한하며, 게임 내에서 도달 가능한 모든 영역에 적용됩니다. 커볼의 중력을 탈출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무중력 비행이나 궤도 이탈은 게임 내에서는 할 수 없습니다. 또한, 항상 원점 도달에 68년이 소요된다고 보여지는데, 그 이유는 커볼의 우주 시간을 처리하는 방법이 232-1초로 제한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매우 강한 추진력을 가진 우주선을 발사해서 탈출 궤도에 진입하면 우주선의 정보에 "커볼을 탈출하는 중"이라고 표기되지만 실제로 벗어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착륙

커볼에 착륙할 수 있기는 합니다. 모든 치트를 활성시키고 말이죠, 매우 빠르게 진행되는 과열이 표면에 도착하기도 전에 우주선 부품들을 파괴시켜버리지만. 소행성들은 1038 도까지의 열 저항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실상 모든 열을 차단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소행성을 포획하여 이를 열 차폐막으로 삼아 커볼에 접근하면 -250 m 까지 접근할 수 있고 그 이후에는 파괴되어 버립니다. 이후 비행 결과 창에는 "커볼의 표면에 충돌하여 파괴됨" 이라고 나타납니다.

온도와 밝기

커볼 대기권의 온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관측 가능한 커볼의 표면을 '광구' 라고 부르며, 온도는 약 5840 K 으로 노란색인 G형 주계열성에 속합니다. 이 광구를 둘러싸고 있는 얇고 뜨거운 대기층을 '채층' 이라고 부르며, 커볼의 표면으로부터 약 600 km 상공까지 존재하고 기압은 약 13kPa 정도입니다. 채층의 온도는 약 50 km 상공까지 상승하면서 약 4000 K 까지 낮아지다가 그 이후부터는 고도가 증가함에 따라 온도도 증가합니다. 대기가 존재하는 최고 고도에 도달하게 되면 온도는 최대 10,000 K 까지 상승하게 됩니다.

게임 내에서의 커볼의 크기와 온도를 기반으로 했을 때, 커볼의 밝기는 약 56.7 요타와트 (요타와트 = 1024 와트) 지만 이는 게임 내 다른 천체에 적용되는 물리값에 명백히 모순됩니다. 예를 들어 커빈에 도달하는 빛의 물리값이 m2 당 1340 W 로 나타나는데, 이를 기반으로 하면 커볼의 밝기는 약 3.16 요타와트로 실제 태양의 밝기의 0.0008 % 밖에 되지 않으며, 온도 또한 2840 K 으로 계산됩니다. 이러한 값을 통해 계산하면 커볼은 M형 주계열성인 적색 왜성에 속하게 됩니다.

물리적 특징

커볼의 반지름은 실제 태양계에서 가장 큰 행성인 목성의 4배고 게임 내에서 등장하는 행성 중에서 가장 큰 쥴의 약 43.6 배이며, 절대등급은 + 10 정도입니다. 커볼에 충분히 접근하면 다양한 크기와 모양의 흑점들과 노란색 표면을 관찰할 수 있는데, 이 노란색 표면을 통해 커볼이 G형 주계열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고 추측할 수 있습니다.

커볼의 '코로나' 는 커볼의 크기에 비해 과하게 크게 나타납니다. 또한 커볼로부터의 위치와 각도에 따라 상대적으로 다르게 보여서 특정 위치에서는 코로나가 매우 잘 관찰되는 반면, 때로는 코로나가 보이지 않고 커볼의 노란 표면만이 보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카메라나 망원경 모드를 사용해서 관측한 코로나 없는 커볼의 모습을 살펴보면 커볼의 크기에 비해 코로나의 크기가 얼마나 큰지를 실감할 수 있습니다.

구버전에서의 모습

버전 0.11까지는 커볼이 천구상의 유일한 빛이였습니다

버전 0.7.3에서는 커빈의 모항성으로 처음 등장했고 붉은 빛을 띄고 있었으며 거리가 무한이여서 가까이 접근하는 것 조차도 불가능했었습니다.

버전 0.17에서의 커볼의 표면

버전 0.11 부터 노란색을 띄게 되었고 표면도 생겨났습니다. 또한 접근도 가능하게 되었고 SUN (태양) 이라는 이름도 생겼으나 팬들은 이미 커볼이라고 부르고 있었습니다. 버전 0.13.3 부터 표면에 착륙할 수 있게 설정되었지만 표면에 접근하기도 전에 엄청난 열로 인해 모든 부품들이 폭발해버리거나 설사 표면에 접근하더라도 광속으로 튕겨저 나가게 되었습니다.

시간배속 기준표

시간 배속 최저 고도
어디서든지
5× 3 270 000 미터
10× 3 270 000 미터
50× 6 540 000 미터
100× 13 080 000 미터
1 000× 26 160 000 미터
10 000× 52 320 000 미터
100 000× 65 400 000 미터

모든 커볼 궤도는 관성계 안에 있습니다. 구 체험판에선, 최대 타임워프를 할만큼 커볼에 너무 가까이 가는것은 심우주 크라켄의 공격을 발생시킵니다.

트리비아

  • "커볼"이란 이름은 KSP 포럼 회원들이 만든 이름으로 게임 내에서는 어디서도 표기되지 않습니다. 게임 개발자는 추후에 다른 항성계가 생겨 구분할 필요가 있으면 그 때 명칭을 바꿀 수도 있다고 했습니다
  • "커볼"은 'Kerbal[커발]'과 태양을 뜻하는 라틴어인 'SOL'의 합성어입니다
  • 커볼의 표면 중력은 커빈보다 2배 강하지만 이브의 중력보다 조금 쌘 정도입니다

실제 태양계와의 비교

실제 태양계의 태양에 대응되지만 질량은 113분의 1이고 지름은 3분의 1입니다. 온도는 3100K(켈빈)으로 온도만으로 보면 M형 주계열성에 속하고 지름으로는 적색 왜성에 속하며 질량은 갈색 왜성에 속해서 실제 세계에 커볼이 존재한다면 항성이 되지 못했을 겁니다. 항성이 되기 위한 최소한의 질량은 목성의 75배 정도 되어야 합니다. 이는 현재 커볼의 10배가 넘는 수치입니다.


갤러리

변경점

0.18.2
  • 외관 변경
0.17
  • 실제 모델이 추가됨, 줄무늬와 플레어 효과, 크기가 수정됨
0.14
  • 고체 표면이 추가됨 (항성 주위로 보이지 않는 ~4500–4700 km 의 층이 생김)
0.12
  • 중력 추가, 반지름이 65,400 km로 변경
0.11
  • 커볼에 도달할 수 있게 됨
0.7.3
  • 최초 릴리스